본문 바로가기
코드스테이츠/section2

[Section 2][네트워크] IP

by 강예은 2023. 5. 30.

IP 주소 구조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IPv4 주소는 OOO.OOO.OOO.OOO의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10진수로 표기되어 있지만, 그 실체는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8비트 필드(8자리 2진수 4개)로 되어있습니다.

 

각 8비트 필드는 IPv4 주소에서 1바이트를 나타냅니다. IPv4 주소의 바이트를 나타내는 이러한 형식을 점으로 구분된 십진수 형식이라고도 합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로 나뉩니다. 네트워크부는 어떤 네트워크인지를 알 수 있는 정보이고, 호스트부는 그 네트워크 안의 특정 컴퓨터를 지칭하는 정보입니다.

 

IPv4 주소에서 네트워크부가 어디까지인지 나타내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입니다.

 

  • IP 주소: 192.168.1.1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네트워크 주소: 192.168.1.0
  • 브로드캐스트 주소: 192.168.1.255

 

8자리의 2진수 묶음을 옥텟이라고 부릅니다. IPv4 주소는 4개의 옥텟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을 1옥텟, 2옥텟, 3옥텟, 4옥텟이라고 부릅니다.

 

위 서브넷 마스크의 경우는, 1에서 3까지의 옥텟을 네트워크부로 사용하는 서브넷 마스크입니다. 따라서 4옥텟은 호스트부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IP주소의 할당과 관리

 

 

MAC 주소와 달리, IP주소는 처음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할당이 되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위 그림처럼 호스트부를 변경해 가면서 IP 할당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위와 같은 예라면, 호스트부는 8자리로 이루어진 2진수이므로, 할당할 수 없는 시작(0)과 끝 숫자(255)를 제외한 번호로 할당이 가능합니다.

 

호스트부가 0으로 만 이루어진 것은 네트워크 주소로 그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호스트부가 1로만 이루어진 것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ARP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따라서 시작(0)과 끝(255)을 제외한 254개의 주소만이 할당가능한 IP주소입니다.

 

IP프로토콜의 한계

 

하지만 IP 프로토콜도 한계가 있습니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 비연결성
  • 비신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특정한 이유로 서비스 불능 상태에 빠져도 데이터를 받을 상대의 상태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패킷을 그대로 전송하는 비연결성 문제가 있습니다.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더라도 보내는 기기 측에서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또한, 서로 다른 노드를 거쳐서 전송되는 특성상, 보내는 기기 측에서 의도한 순서대로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한 IP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경우 특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TCP와 UDP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장에서는 TCP와 UDP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링크의 웹서비스를 이용하면 자신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접속 기기가 많아지게 되면 IP 주소를 별도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인 IPAM에 대해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