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28 [Section 2][네트워크] SSR vs CSR SSR vs CSR 이 콘텐츠에서는 SSR과 CSR(Client Side Rendering)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웹 개발에서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SSR과 CSR의 정의와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What is SSR? [그림] SSR SSR은 Server Side Rendering의 줄임말입니다. Javascript 가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하는 대신에, 서버에서 렌더링합니다. 빗대어 표현한다면, 온라인에서 가구를 주문했을 때 배송 출발지에서 조립을 완료한 상태로 보내는 것입니다. 브라우저가 서버의 URI로 GET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정해진 웹 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전송합니다. 그리고 서버의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도착하면 완전히 렌더링됩니다. 서버에.. 2023. 5. 30. [Section 2][네트워크] 웹(WEB)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간단하게 도식화하면 위와 같을 것입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기술면접 상황에서 접하게 되면 어떤 방식으로 대답하실 수 있으신가요? “웹 애플리케이션의 안 보이는 영역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아는 데로 설명해 주세요” 아마 지금까지 배워오고 기존지식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의 혹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은 서버단에 도달하게 되고, 서버단에서는 요청에 따른 back-end 로직을 실행한다. 그 이후, 서버는 응답을 클라이언트 단에 돌려주고 클라리언트는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맞는 대답입니다. 하지만 뭔가 부족합니다. 이제부터, 우.. 2023. 5. 30. [Section 2][네트워크] 웹(WEB)의 구성 웹의 구성 웹(WEB)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입니다. 하이퍼텍스트: 문서 안에 다른 문서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여 문서 간의 정보를 서로 연관 지어 참조할 수 있는 문서. 웹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의 구현물의 하나일 뿐이지만, 지금은 인터넷이라 하면 흔히 웹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하이퍼텍스트의 시작은 1989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입니다. 연구소 직원이던 팀 버너스리가 정보 공유 수단으로써 고안한 것이 원형입니다. 연구소 내의 직원들이 수많은 정보를 주고받는 상황에 다른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어서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는 했는데,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에 상관없이 일정한 형식으로 출력되게 하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일정한 형식의 기준인 .. 2023. 5. 30. [Section 2][네트워크] DNS(Domain Name System) 동작방식 탑 레벨 도메인은 .com, .kr, .net 등 도메인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도메인입니다. kr, us와 같은 국가 코드를 사용하는 도메인은 co, ac와 같은 2단계 도메인과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서브도메인은 일반적으로 `www, m`와 같은 제일 왼쪽에 위치한 도메인들이 해당됩니다. 호스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서브도메인은 웹 사이트의 특정 부분을 나눠서 보여줘야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m(모바일)`, `www(기본)`, `store(스토어)`등의 도메인에 따라 사이트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기억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관리하는 도메인 서버(존)입니다. 대표적으로 모든 도메인을 관리하는 루트 네임 서버, TLD를 관리하는 네임 서버, 권한 있는 네임 서버로 구성됩니다. 이.. 2023. 5. 30. 이전 1 2 3 4 5 ··· 7 다음